미국의 저명한 사진가 디미트리 보리아(1902~1990)가 駐日 美극동사령부 사진반에서 일할 때 한반도 각지를 돌며 촬영한 것입니다.
전쟁은 체면이나 양심, 도덕률. 이런 것과는 거리가 먼 곳에 현실로 존재한다. 유치원에
다녀야 할 나이의 어린이가 깡통을 들고 거리에 나가 낯선 얼굴들에게 손바닥을 벌려야 했다
나무뿌리라도 먹어야 산다. 그리고 잡초보다 모질 게 살아남아야 했다. 아이를 업은
소녀의 손에 쥐어진 나무뿌리는 이 가족의 한 끼 식사일까, 아니면 땔감일까 ?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어린 형제가 골목에서 해바라기를 하고 있다
전란통에 용케도 살아남은 이 소년 소녀들은 시민혁명과 쿠데타, 군사독재와 경제기적의
한복판을 질풍노도처럼 관통하여 "의지의 한국인"을 세계에 알리는 주역이 되었다.
부모님은 피난통에 돌아가시고, 살던 집은 폭격으로 다 부서져 폐허가 된 터에 어린
소년이 버려진 채 눈물을 훔치고 있다. 고난의 1950 년대를 몸으로 때우며 살아온 이 민족의 처절한 단면이다.
찬 이슬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면 헛간이라도 좋았다. 행색은 초라해도 카메라를 강하게
의식하는 이 초롱초롱한 눈매의 자매들은 지금쯤 어떤 모습이 되어 있을까?
개털모자에 항공모함같은 헝겊 군화, 곳곳을 기운 이 복장이 1950년대 유년시절을
보냈던 대부분 한국인의 자화상이었다
판자로 얼기설기 엮어 지은 2층 건물 곳곳에 피난민이 바글대고 있다. 고함 한번 치면
풀썩 주저앉을 듯 위태로운 건물 모습이 위기에 처한 조국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하다
엄동설한 추위를 피하기 위한 땔감도 넉넉지 못했던 시대에 두 소년이 끌고 가는
수레에는 한 식구의 온기를 담보하는 행복이 실려있는 듯하다.
태평양을 건너온 미군복을 얻어 입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간혹
마음씨 좋은 미군 아저씨를 만나면 미국으로 입양되는 행운을 얻기도 했다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한 아이가 탈진 했는지 기둥에 머리를 기대고 있다. 마치 요즘
북한 장마당의 꽃제비를 연상케 하는 모습이다.
노인이 문 긴 담배대를 고개를 외로 꺽고 바라보는 소년과, 소년이 손에 쥔 깡통 속을
바라보는 노인. 전쟁은 노인의 빈 담배대와 소년의 빈 깡통 속에 있었다.
수백리 길을 걸어서 피난을 떠나야 했다.
젊은이들이 가질 수 있는 직업이래야 날품팔이가 고작이었던 시절. 한 지게꾼이 피로에
지친 모습으로 길가에서 잠들어 있다.
수용소에서 공산군 포로들이 한가롭게 목욕을 하고 있다. 피가 튀고 뼈가 조각 나는
포연 자욱한 전장은 이들에겐 일장춘몽이었을까 ?
간단치 않은 일이었다.
여유를 되찿은 인민군 여자 포로가 미소를 짖고 있다.
가슴에 두른 것이 인상적이다
무기와 도끼,칼 등을 들고 있다.
가슴에 태극기와 양 팔뚝에 멸공,애국 이라는 글씨를 새긴 반공 포로. 밤마다
親共(친공)포로와 反共(반공)포로들의 살육전에 많은 포로들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삶과 죽음이 무시로 교차하는 전쟁에서 운이 좋은 사람들은 살아나고,
운이 다한 사람들은 한 점 흙으로 돌아갔다 (*)
'참새홈 > 귀한사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년전의모습1 (0) | 2010.05.01 |
---|---|
백년전결혼과생활풍습 (0) | 2010.05.01 |
귀한사진자료 (0) | 2010.05.01 |
추억을 되살리면서~~~ (0) | 2010.05.01 |
잡동사니3 (0) | 2008.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