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오리밭 2008. 5. 12. 21:12

[iso파일_만들기]WINISO-ratmsma.zip

WinISO v5.3 한글판


CD 이미지 파일만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미지 파일이란 하드디스크나 CD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묶은 파일이다.

CD에 있는 모든 내용을 이미지로 만들면 CD 이미지 파일이 되는 것이다.


이미지 포맷은 가장 많이 쓰이는 ISO, BIN(CDRWIN), CIF(Easy CD), NRG(Nero), VCD, FCD,

IMG, C2D, TAO, DAO 등을 지원한다. WinISO는 CD Image가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수에는

부족하지만 인기있는 이미지 파일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또 하나의 기능은 이미지 파일 변환이다.

서로 다른 포맷때문에 레코딩 시 불편했는데, ISO<->BIN, BIN<->ISO, FCD<->ISO

다양한 변환을 통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이미지 파일 전환이 가능하다.


이미지 파일을 다룰 때 바이러스 감염에 대비해 외부 백신을 등록해 두면 바이러스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오버 버닝의 기능을 도입해 최대 700MB 데이터까지 다룰 수 있다.


내용출처 : Driver All.com                    WinISO 공식 홈페이지(영문) : http://www.winiso.com





WinISO 사용법 ───────────────────────────────────


* 다운받은 WinISO v5.3을 압축푼 다음, WinISO53을 실행해 PC에 설치한다.(SETUP)

* 포함되어 있는 language.ini파일을 복사(또는 잘라내기)하여,

* WinISO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 붙여넣기한다.(덮어쓰기)



등록이름 : Wu Chia Hsuan

등록코드 : B9EDA3326B574719D67268E9339320519E80ACD5ECDFA87F





1. 이미지파일 다루기

레코딩을 하다보면 정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파일들을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 파일들에 있는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파일이나 디렉토리등의
간단한 추가나 삭제는 그리 쉽지 않다. 오늘은 이렇게 이미지 파일에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추가하거나 이미지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등 다양하게
이미지 파일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번 강좌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는 이미지 파일을 종합 관리해 주는 대표적인 WinISO를 사용하겠다.
( 단, 강좌에 사용되는 모든 이미지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락이 적용되어
있는 이미지나 압축되어 있는 이미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이 강좌를 보고 이미지를 수정하거나 변경되어 파일의 손상이
가해진 이미지에 대해서는 보장도 하지 않는다. )

∴ 이미지에 파일 추가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ISO에서 지원하는 이미지들은 참으로 다양하다. 가장 기본적으로 ISO를 시작으로
BIN/CUE, CIF, IMG, NRG, FCD, VCD 형식의 이미지를 지원한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할 점은
FCD, VCD 형식의 이미지의 경우에는 압축이 되지 않은 이미지에 대해서만 지원하고 있다.
또한 락 걸린 이미지에 대해서도 차후 이미지저장 후에 이미지 형식이 변경되는 파일에
대해서는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이미지에 파일을 추가해 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ISO는 제작사에서 기본적으로 한글 언어팩을 제공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설치가
끝난 후 한글 언어팩을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한 모습이다. 아이콘에 열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매뉴에서 파일 | 열기를 선택하거나 혹은 단축키 Ctrl+O를 누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pen CDROM Image file... 창이 열리고 파일을 추가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미지 파일을 열면 위와 같이 이미지 파일의 내부 구조를 Windows의 탐색기 형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일 편집 창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서브 매뉴에서 파일 추가를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열기 창이 열리면 추가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이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제 파일을 추가하였으니 저장하는 일만 남아있다.
 저장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아이콘이 저장 버튼을 클릭하거나 매뉴에서
파일 | 저장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S를 누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파일을 저장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이미지에 디렉토리 추가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 이제는 파일을 추가해보았으니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파일 추가와 큰 차이점은 없다 파일 편집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서브 매뉴에서 폴더 추가를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폴더 찾아보기 창이 나타나면 추가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디렉토리가 추가된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렉토리와 파일이 제대로 추가되었다면 파일 추가시에 이미지 저장법과 마찬가지로
아이콘이 저장 버튼을 클릭하거나 매뉴에서 파일 | 저장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S를 누른다.

∴ 이미지 볼륨명 변경하기

자 이제는 이미지의 볼륨명을 변경해 보기로 하자. 매뉴에서 실행 | CD 레이블 설정을 클릭한다.

위의 이미지와 같이 볼륨명을 사용자가 원하는 볼륨명을 수정하여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추가한 후 저장한 방식과 마찬가지로 저장 아이콘을 클릭하여 저장하면 이미지의 볼륨명이 변경된다.


1. 이미지파일 다루기 II


∴ 이미지 파일 바이러스 검사하기

이번에는 이미지 파일내에 있는 파일들의 바이러스 검사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매뉴에서 옵션 | 환경설정을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환경설정 창이 열리고 바이러스 검색기 탭에서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 선택 버튼을 클릭한다.

열기 창이 열리면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여기서는 V3 Pro 2002 Deluxe를 이용하였다.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선택이 완료되면 환경설정 창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이제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모든 설정이 끝났고 파일 편집 창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서브 매뉴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클릭한다.

선택된 파일과 디렉토리의 바이러스가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바이러스 검사가 모든 끝난 모습이다.

∴ 이미지 하드디스크에 풀기

풀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연후 하드디스크에 풀고 싶은 디렉토리와 파일을 선택한 후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서브 매뉴에서 풀기를 클릭한다.

파일 풀기... 창이 나타나면 풀고자 하는 디렉토리 설정을 위해 ...에 풀기에서 ...버튼을 클릭한다.

폴더 찾아보기 창이 열리면 풀고자 하는 적당한 디렉토리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파일 풀기... 창이 열리면 선택된 파일, 모든 파일 등의 설정을 마친 후에 풀기 버튼을 클릭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지정된 디렉토리에 디렉토리와 파일을 푸는 모습이다.

작업이 끝난 후 디렉토리에서 풀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 ISO 이미지 만들기

이번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디에서 ISO 이미지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매뉴에서 실행 | CD롬으로부터 ISO 이미지 만들기를 클릭하거나 단축기 F6을 누른다.

CD롬으로부터 ISO 만들기 창이 열리고 원본 시디가 들어있는 시디롬을 선택하고 저장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설정을 위해 ... 버튼을 선택한다.

열기 창이 열리면 디렉토리와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파일의 이름의 설정이 완료되면 옵션에서 ASPI를 선택하고 만들기를 클릭한다. 옵션에서 ASPI와 파일의 다른점은 어떤 방식으로 이미지를 뜰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ASPI의 경우에는 정품이 가지고 있는 부팅이미지라든지 기타 사항을 모두 포함하여 이미지를 작성하고 파일로 설정하게 되면 프로그램상에서 자동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것으로 원본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 파일이 지정된 디렉토리에 만들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1. 이미지파일 다루기 III


∴ BIN -> ISO 이미지 변환하기

BIN 파일을 ISO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매뉴에서 변환 | BIN 이미지를 ISO 이미지로...를 클릭한다.

BIN --> ISO 변화기 창이 열리면 BIN 파일의 선택을 위해 ... 버튼을 클릭한다.

Select file(s) 창이 열리면 BIN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저장 파일설정 역시 ... 버튼을 클릭하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이 열리면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을 지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모든 과정이 끝나면 BIN --> ISO 변화기 창에서 변환 버튼을 클릭한다.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BIN파일이 ISO 파일로 변화되는 모습이다.

∴ ISO -> BIN 이미지 변환하기

이제는 반대로 ISO파일을 BIN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매뉴에서
변환 | ISO 이미지를 BIN 이미지로...를 클릭한다. ISO --> BIN 변환기 창이 나타나고 ... 버튼을 클릭한다.

Select file(s) 창이 열리면 ISO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 설정 역시 ...버튼을 클릭한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이 나타나면
파일명을 지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모든 과정을 마치고 변환 버튼을 클릭한다.

변환 버튼을 클릭하면 ISO 파일이 BIN 파일로 변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모든 과정이
끝나면 자동으로 CUE파일이 생성된다.

∴ 다른 이미지 ISO 이미지로 변환하기

BIN 파일이 아닌 다른 이미지들을 ISO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매뉴에서
변환 | 다른 이미지 포맷 변환...을 클릭한다.

원본 파일의 선택을 위해서 ... 버튼을 클릭한다.

Select file(s) 창이 열리면 WinISO가 지원하는 이미지 중에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저장할 위치와 이미지 파일명의 설정을 위해서는 ...버튼을 클릭한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이
열리면 저장하고자 하는 ISO 이미지의 파일명을 설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모든 작업이 끝난 후 역시 변환 버튼을 클릭하며, 이미지의 변환이 이루어 진다.

∴ 부팅 가능한 시디 이미지 만들기

부팅 가능한 시디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역시 아주 간단하다. 이미지를 불러들여 부트가 가능한
CD인지 아니면 불가능한 CD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불가능한 CD라면 매뉴에서 부팅 CD | 파일로부터 부트 정보 불러오기...를 클릭한다.

Open file to load boot information... 창이 열리고 부트정보를 가지고 있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지정된 이미지가 제대로 불러들여지면 부트불가능CD로 표시되던 부트가능CD여부 영역이
부트가능CD 표시로 변경된다. 이를 저장하기 위해선 아이콘에서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 부팅 가능한 이미지에서 부팅이미지 추출하기

반대로 부트가능한CD에서 부트정보를 파일로 저장해 보자. 부트가능한CD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에
매뉴에서 부팅 CD | 부트 정보를 파일에 저장하기...를 클릭한다.

Save boot information to .WBT file...창이 열리면 저장할 부트이미지의 파일명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클릭과 동시에 이미지에 적용되어 있는 부트이미지를 파일로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WinIS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다양한 이미지 파일에 파일의 추가, 디렉토리 추가,
부트가능한 CD 만들기 그리고 다양한 이미지 파일을 ISO파일로 변환해 보았다.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이러한 작업은 어디까지나 락이나 압축이 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에 한정되어 있음을 명심하자.
그리고 한가지 더 이야기 하자면 이미지는 지정된 이미지 파일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서만 사용하였으면 한다.
보통 LCD 파일이 인터넷의 파일 공유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LCD는 CD Space에서만 사용하고
파일 공유를 위해서는 표준적인 규격인 ISO, BIN/CUE 혹은 IMG/CCD/SUB의 이미지로 공유하여
사용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